1HOON
논리적 코딩
1HOON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HOME (187) N
    • ☕️ JAVA (28)
      • WhiteShip Java LIVE Study (6)
      • Effective JAVA (10)
    • 🔮 KOTLIN (4)
    • 🌱 SPRING (51)
      • 스프링 인 액션 (22)
      • JPA (18)
    • ☕️ JAVASCRIPT (6)
    • 📃 DATABASE (40)
      • ORACLE (37)
      • MSSQL (2)
    • 🐧 LINUX (4)
    • 🐳 DOCKER (5)
    • 🐙 KUBERNETES (4)
    • 🏗️ ARCHITECTURE (8)
    • 📦 ETC (27) N
      • TOY PROJECT (5)
      • RECRUIT (1)
      • 그냥 쓰고 싶어서요 (14)
      • TIL (1) N
    • 🤿 DEEP DIVE (1)
    • 🚽 Deprecated (9)
      • PYTHON (3)
      • AWS (2)
      • HTTP 완벽가이드 (3)
      • WEB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방명록
  • 관리

인기 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1HOON

논리적 코딩

[Docker] MariaDB 설치하기
🐳 DOCKER

[Docker] MariaDB 설치하기

2020. 6. 1. 21:11

오늘은 Docker에 MariaDB를 설치해본다. 그리고 오늘도 30분 만에 끝났다. Docker는 미쳤어

 

 

1. MariaDB 이미지 다운로드

  • 윈도우 CMD 창을 연다.
  • 아래 커맨드로 이미지를 다운로드한다.
1
docker pull mariadb
cs

 

 

2. MariaDB 컨테이너 추가 및 구동

  • 이미지가 다운로드되면 아래 커맨드로 컨테이너를 추가하고 구동한다.
1
docker run --name mariadb -d -p 3306:3306 -e MYSQL_ROOT_PASSWORD=mariadb mariadb
cs
  • --name mariadb : 컨테이너의 이름을 mariadb로 지정
  • -d : 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로 실행
  • -p 3306:3306 : 호스트-컨테이너 간 포트 연결. 호스트에서 3306 포트 접속 시 컨테이너 3306 포트로 포워딩됨.
  • -e MYSQL_ROOT_PASSWORD=mariadb : 컨테이너 내 환경변수 설정. root 계정의 패스워드를 mariadb로 지정.
  • mariadb :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이름

 

3. MariaDB 접속

  • 아래 커맨드를 실행해 컨테이너의 bash로 접속한다.
1
docker exec -it mariadb /bin/bash
cs
  • 정상적으로 접속되면 root 계정으로 컨테이너의 bash에 접속이 된다.
  • 그리고 아래 커맨드로 Maria DB에 접속하자. 패스워드는 앞서 입력한 MYSQL_ROOT_PASSWORD 값이다.
1
mysql -u root -p
cs

  • 여기까지 하면 설치는 완료!

 

4. Characterset 변경

  • 설치한다고 끝이 아니다. Characterset을 지정해줘야 한다. 우린 한글을 쓰니까.
  • Maria DB에 접속한 상태로 아래 커맨드를 실행하면 현재 Maria DB의 상태를 표시해주는데, Characterset도 보여준다.
1
status
cs

  • 설치까지만 진행했을 경우에는 Characterset이 모두 latin1로 되어있는데, /etc/mysql/my.cnf 파일을 수정해 변경할 수 있다.
  • exit 커맨드를 입력해 Maria DB 접속을 종료하고 vim으로 해당 파일을 열어 아래 내용을 추가하자. 
  • 이때, vim command not found 오류가 뜬다면 [Docker] 컨테이너 bash에 vim 설치하기 포스팅을 참고하자.
1
2
3
4
5
6
7
8
9
10
[client]
default-character-set = utf8mb4
 
[mysql]
default-character-set = utf8mb4
 
[mysqld]
collation-server = utf8_unicode_ci
init-connect='SET NAMES utf8'
character-set-server = utf8
cs
  •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고, 컨테이너 bash 접속을 종료한다.
  • 그리고 아래 커맨드로 컨테이너를 재기동하자.
1
docker restart mariadb
cs
  • 그리고 다시 컨테이너 bash에 접속하고 Maria DB에 접속한 뒤 status 명령어를 실행하면 아래처럼 Characterset이 UTF8로 변경된다.

 

 

반응형
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(새창열림)

'🐳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ortainer] Docker를 WebUI로 관리하기 - Jenkins 설치하기  (0) 2021.08.21
[Portainer] Docker를 WebUI로 관리하기 - 설치하기  (0) 2021.08.21
[Docker] 컨테이너 bash에 vim 설치하기  (5) 2020.06.01
[Docker] Windows10에서 Docker 설치  (1) 2020.05.31
    '🐳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Portainer] Docker를 WebUI로 관리하기 - Jenkins 설치하기
    • [Portainer] Docker를 WebUI로 관리하기 - 설치하기
    • [Docker] 컨테이너 bash에 vim 설치하기
    • [Docker] Windows10에서 Docker 설치
    1HOON
    1HOON

    티스토리툴바